본문 바로가기
Tea

대용차 : 대용차의 의미, 종류

by 건강수 2023. 6. 27.

차나무의 잎으로 만든 차를 제외한 모든 음료를 차를 말합니다. 정통차라 하면 차나무 잎으로 만든 것만이 차(茶)이고 그 밖의 식물을 이용한 차(茶)는 모두 대용차라 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마시는 허브차, 보리차, 과실차 등은 사실 본연의 의미인 차가 아니라 대용차라고 합니다. 

썸네일 대용차

 

대용차란?

차는 크게 차와 대용차로 구분됩니다. 차는 본래 차나무의 찻잎으로 우려낸 차 녹차, 홍차, 우롱차 등으로 나뉘며 대용차는 찻잎을 제외한 식물의 꽃, 열매, 줄기 등으로 만들 차로 허브차, 꽃차,  과실차, 곡물차 등으로 나뉩니다. 커피도 대용차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습니다.  
차는 본래 차나무와 그 잎만을 가리켰습니다. 소나무의 솔, 대나무의 대처럼 차도 원래 차나무라는 이름의 나무입니다. 그런데 차나무의 잎(찻잎)을 우려서 마시기가 문화로 자리 잡다 보니 찻잎 우린 물까지 그냥 차(茶)라 부르게 된 겁니다. 나중에는 차나무 잎이 아니라 풀잎이나 꽃, 뿌리 등 식물성 재료를 우린 물도 모두 차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보리차가 대표적 사례라 볼 수 있습니다. 현대에 들어서는 유자차, 율무차와 같이 그냥 식물성 재료를 우린 음료수를 전부 일컫는 명칭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 
 

'차'가 아니라 '탕'?

대추차, 인삼차, 생강차 등 음료는 원칙적으로 대추탕, 인삼탕, 생강탕이 되어야 합니다. 식품 분류상으로 차가 아닌 거죠. 하지만, 관습상 부르던 언어의 의미확장을 존중하여 이를 대용차(茶)라 부르게 된 겁니다. 원래 이런 음료들은 우린 물, 한자로 탕(湯)이라 부르는 게 맞습니다. 마찬가지로 허브티, 커피, 마테차도 원의로 따지면 차가 아닙니다. 
조선시대에도 정약용이 아언각비(雅言覺非)를 쓰면서 "원래는 차나무 잎을 우린 것만 차라고 불러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탕(湯)이나 환(丸), 고(膏)처럼 먹는 방법으로 착각하여 한 가지 재료를 우린 것을 모두 차라고 부르니 생강차, 귤피차니 하는 것이 나왔다."라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은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식물성 재료를 우려낸 음료에 티(TEA)라는 이름이 붙은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습니다. 
 

커피도 '대용차'

커피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을 때 민간에서는 이를 양탕국(洋湯)이라 불렀다고 전해집니다. 왕실에서는 가배(珈琲) 차 또는 가비(珈非) 차라 칭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서만 보더라도 탕과 차의 의미를 혼용하여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구나 요즘은 정약용 시절보다 의미가 더욱 넓어져 여러 가지 재료를 섞거나 혹은 우려내지 않고 가루를 물에 풀었더라도 식물성 재료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음료를 모두 '차'라고 통칭합니다. 
 

대용차의 종류와 효능 

1. 허브차 : 풀, 약초라는 뜻의 영어 허브(herb)와 차가 결합된 말로 건조한 꽃잎이나 씨앗, 부리 등으로 끓여서 만든 차

- 라벤더차: 두통, 메스꺼움, 불안, 불면증, 스트레스 완화 등 
- 루이보스차 : 인산부 건강, 피부 미용, 체중감량 등
- 캐모마일차 : 감기예방, 불면증, 긴장, 우울증 완화 등
- 페퍼민트차 : 항균, 소화촉진, 집중력 향상, 두통완화 등

2. 꽃차 : 사계절 피는 꽃의 꽃, 잎, 가지, 줄기, 열매, 뿌리를 소재로 각 식물 특성에 맞게 법제(제다: 식물이 가진 독성을 제고하여 만드는 작업)해 만든 차 

- 국화차 : 눈 건강, 감기예방, 불면증 완화 등 
- 민들레차 : 간기능개선, 체내 염증완화, 변비 예방 등 
- 메리골드차 : 눈건강, 상처 및 피부 궤양 치유 촉진 등
- 매화차 : 숙취해소, 심신안정, 피부미용 등

3. 과실차 : 과일을 절이거나 말린 후 우려 만든 차 

- 레몬차 : 암 예방, 체중감량, 피부미용 등
- 자몽차 : 감기예방, 체중감량, 피부 미용 등
- 모과차 : 기침완화, 폐기능 개선, 피로 해소 등
- 유자차 : 감기예방, 숙취 해소, 피부미용 등

4. 곡물차 : 곡물을 재료로 하여 만든 차

- 메밀차 : 간기능개선, 숙취해소, 혈액순환 촉진
- 보리차 : 항균, 해열작용, 체중감량
- 결명자차 : 눈 건강, 이뇨작용, 변비예방 
- 옥수수차 : 충치예방, 이뇨작용, 피부미용 
 
차는 인류가 만든 최고의 기호품이며 건강식품이라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茶는 인류역사를 바꾸어 놓은 중요한 사건의 주인공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차를 알면 문화를 알게 되고 차를 마시면 건강과 함께 사색이 따르는 것입니다. 더운 여름 차의 의미와 효능을 알고 나에게 맞는 차를 마시면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