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29 젊은이들의 가치소비를 선도하는 스타벅스 스타벅스는 브랜드가 아니라 문화라 표현을 해도 될 거 같다. 최근 스타벅스 코리아에서 출시한 대안육 활용한 3가지 푸드(플랜트 미트볼 치즈 샌드위치, 플랜트 미트 에그 포카치아, 플랜트 미트볼 수프)가 출시 2주 만에 누적 판매량 10만 개를 돌파했다. 스타벅스는 커피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인식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젊은이들의 문화, 가치소비를 선도하는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스타벅스의 창업과정을 통하여 그 이유를 알아볼까 한다. 스타벅스 네이밍의 유래 스타벅 Starbuck은 허먼멜빌의 소설 '모비딕'에 등장하는 일등 항해사의 이름이다. 그럼 '스타벅'이라는 항해사가 커피를 좋아했을까? 안타깝게도 소설 내내 그는 단 한잔의 커피도 마시지 않는 걸로 나온다. 그러면 왜 굳이 항해사의 이름을 딴 커피 브랜.. 2023. 7. 16. 우리나라 인스턴트가 사랑받는 이유 우리나라 커피의 역사는 사실 원두커피보단 해외 바리스타들도 극찬한 커피믹스의 역사라고도 할 수 있다. 국내에 커피가 대중화되는데 큰 역할을 한 커피믹스는 대형마트에서 라면을 제치고 당당히 판매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면 전 세계 유일무이하다는 우리나라의 커피믹스는 언제, 어디서부터 등장했을까? 커피의 등장 커피가 우리나라에 처음 음용된 것은 1885년 제물포항으로 들어온 아펜젤러가 대불호텔에 머물렀을 때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곳에서는 서양코스 요리를 팔았는데 그때 커피가 후식으로 나왔는데 먹을만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우리나라와 커피의 인연으로 더 많이 알려진 것은 1896년 러시아 공사관에서 고종황제가 처음으로 커피를 마신 기록이다. 이후 8.15 광복과 6.25 전쟁 시기에 미국 보급품을.. 2023. 7. 12. 우리나라의 커피 역사 : 고종황제와 커피 점심시간이 되면 식사 후 한 손에 커피 한 잔씩을 들고 이동하는 직장인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커피가 궁궐인 경복궁이나 덕수궁에서 서양인을 접대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진다. 특히 고종황제가 커피를 상당히 좋아했다고 하는데 오늘은 우리나라에서의 커피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고종황제와 커피 1896년 명성황후가 일본 낭인들에게 살해되는 을미사변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황제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여 1년간 머물게 된다. 그때 처음으로 커피를 접하게 되고 그 맛을 잊지 못해 환궁한 뒤 덕수궁에 정관현이라는 서양식 집을 짓고 그곳에서 커피를 마시기도 하고 신하들에게 권하거나 하사도 하였다고 한다. 고종황제는 커피 사랑으로 커피에 독약을 타서 암살의 위협을 받은 적도 있는데 평소 향.. 2023. 7. 11. 전통차 vs 커피 : 공통점, 차이점 차와 커피는 늘 우리 곁에서 함께하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아침잠을 깨기 위해서, 오후에 쏟아지는 잠을 쫓기 위해서, 친구와 담소를 나누기 위해서, 회의석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등 하루 차 또는 커피 한 잔 이상을 마시지 않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다. 특히, 개운한 아침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마시는 차 한잔 속 카페인은 '삶의 엔진오일'로 여겨지기도 한다. 과거 BBC방송에서는 차와 커피 중 일상의 삶과 건강에 더 좋은 음료가 무엇인지 분석을 한 적이 있다. 결과는 무승부였다. 전통차 vs 커피 : 공통점 1. 카페인 함유 차와 커피에는 공통적으로 카페인이 함유돼 있다. 차 한잔에는 카페인이 약 40mg 들어있지만, 커피에는 80~150mg이 들어있다. BBC방송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커피.. 2023. 7. 10. 이전 1 2 3 4 5 ··· 8 다음